[선형대수학]05.하나의 행렬에 대한 연산: 간단한 행 연산 (Simple Row Operations)
통계/처음부터 시작하는 선형대수학2025. 2. 13. 09:00[선형대수학]05.하나의 행렬에 대한 연산: 간단한 행 연산 (Simple Row Operations)

이번 포스팅에서는 선형대수학의 기초가 되는 간단한 행 연산에 대해 소개할 예정입니다. 행 연산이란?행렬을 사용하여 선형 방정식 시스템을 풀기 위해 행 연산(Row Operations)을 활용합니다.행 연산을 사용하면 행렬을 점진적으로 더 간단한 형태(예: 계단식 형태, 가우스 소거법 등)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.기본적인 행 연산 세 가지행 교환 (Row Swapping)행의 배수 곱하기 (Scaling a Row)행 더하기 또는 빼기 (Adding/Subtracting Rows)행 교환 (Row Swapping)두 행을 서로 바꿀 수 있다. 이를 Ri ↔ Rj로 표현합니다.연립방정식에서 방정식의 순서를 바꾸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집니다.예제다음 행렬에서 R2 ↔ R3 연산을 수행하겠습니다.\begin{a..

[선형대수학]03.하나의 행렬에 대한 연산: 행렬의 차원 및 성분(Matrix Dimensions and Entries)
통계/처음부터 시작하는 선형대수학2025. 2. 10. 09:00[선형대수학]03.하나의 행렬에 대한 연산: 행렬의 차원 및 성분(Matrix Dimensions and Entries)

이번 포스팅에서는 선형대수학의 기초가 되는 행렬의 차원 및 성분에 대해 소개할 예정입니다. 행렬(Matrix)이란?행렬은 값들이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된 숫자의 집합입니다.행렬의 각 값은 행(row)과 열(column)에 위치한 개별 성분(entry)입니다.행렬을 사용하면 큰 규모의 선형 방정식 시스템을 쉽게 다룰 수 있습니다.예를 들어, 20개의 방정식과 20개의 미지수를 다루려면 행렬을 사용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입니다.행렬의 차원(Matrix Dimensions)행렬의 차원은 행(row)의 개수 × 열(column)의 개수로 표현합니다.예를 들어, 3×4 행렬은 3개의 행과 4개의 열을 가진 행렬을 의미합니다.일반적인 행렬의 형태:1×1 행렬 (1개의 행, 1개의 열):\begin{bmatrix} a ..

300x250
image